dae-hyun [326763] · MS 2010 · 쪽지

2013-07-11 17:37:14
조회수 547

승동 쌤! E-solution 질문 추상적 독해 파트 p63 14번

게시글 주소: https://www.orbi.kr/0003738004

Nothing is 'real' which does not sustain itself in existence, in a life-and -death struggle with the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its existence. the struggle may be blind or even unconscious, as in inorganic matter ; it may be conscious concerted, such as the struggle of mankind with its own conditions and with those of nature. Realithy is the constantly renewed result of the process of existence - the process, conscious or unconscious in which "that which is " becomes "other than itself" ; and identity is only the continuous negation of inadequate existence, the subject maintaining itself in being other than itself. Each reality, therefore, is a realization a development of subjectivity. Hegel defines it as "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"

이 문제에서 정답이 2번인 이유가 실질적인(직접적인) 근거인 주관성(subjectivity)에 근거해서 progress in the consciousness of freedom 이라고 했는데 이거 너무 논리적 비약아닌가요?? 왜 주관성이 자유의 의식에서의 진보인지 더 자세하게좀 설명해주세요...

나머지 선지들이 이 글의 내용과는 터무니 없이 관련이 없는 내용인 선지들이여서 2번을 했긴 했는데 좀 찜찜하네요.

0 XDK (+0)

  1.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.

  • 승동 · 309234 · 13/07/11 23:38 · MS 2009

    음 검토자들이 칭찬한 문제인데 의외네요..전혀 비약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.

    일단 지문의 독해 과정은 해설지에 설명되어 있으니 아주 디테일하게는 안합니다.

    freedom=subjectivity라고 설명햇을 테고
    progress in the consciousness에 대해 해설하자면

    it may be conscious concerted, such as the struggle of mankind with its own conditions and with those of nature.
    ->conscious, 즉 의식이 들어 있는 과정이라고 처음부터 설명하고 있고
    (with its own condition=>자기의 환경=>주관적인 측면이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)

    Realithy is the constantly renewed result of the process of existence
    ->실존은 계속 새롭게 되는 결과입니다. 새로워진다는 내용은 결국 윗 문장과 연결하여 생각하면 '과정' 혹은 '발전'등으로 대응이 되겠네요.

    identity is only the continuous negation of inadequate existence, the subject maintaining itself in being other than itself.
    ->정체성(지문을 읽어보면 Reality와 대응됨을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. Part1과 2에서 다루었던 동의어구 개념이 녹아있는거죠)
    은 부적합한 존재의 영속적인 거부라고 합니다. 윗 지문의 내용들과 대응하여 생각하면 부적합한 것을 취하지 않는다, 즉 필요 없는 것을 버린다는
    내용 정도로 알 수 있겠네요=역시 발전(progress)라는 지문의 맥락을 충분히 잡으 실 수 있습니다.

    Each reality, therefore, is a realization- a development of subjectivity.
    ->따라서 각각의 실제는 주관성의 발전인 깨닮음이다.
    역시 '윗 내용과 연결해서' 생각해야 됩니다. 기출을 통해서 개념설명이 말하는 대로 독해하셨겟죠?
    실제는 주관성의 발전, 즉 자기 의지의 발전을 의미함을 알 수 있습니다. 이를 '깨달음'이라고 설명하였고요

   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.

  • dae-hyun · 326763 · 13/07/12 00:21 · MS 2010

    다시 읽어보니까 이제 이해 됬어요!! 처음에는 이게 도대체 먼내용인지 해설지봐도 먼내용인지 몰르겠는데 차근차근 보니까 되는군요.

    와 이렇게 길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해요.. 책 정말 유용하게 잘 쓰고 있습니다 ^^